조상은 몰랐던 단맛, 설탕 중독의 시대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설탕을 섭취합니다. 달콤한 커피 한 잔, 간식으로 집어든 빵 한 조각, 식사 때 먹는 찜닭이나 불고기까지—설탕은 이제 거의 모든 음식에 들어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러나 불과 몇 세대 전까지만 해도 한국인의 식탁에는 설탕이라는 존재 자체가 거의 없었습니다.


설탕 없는 전통 음식

한국의 전통 음식은 설탕보다는 자연 재료의 단맛을 활용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곶감, 대추, 조청, 꿀 같은 천연 감미료는 특별한 날에만 사용되었고, 일상적인 음식에서는 간장, 된장, 식초, 마늘 같은 조미료가 기본이었습니다.

조상들은 설탕 없이도 건강한 식생활을 했습니다. 자연의 단맛에 익숙했고, 간식 문화도 지금처럼 발달하지 않아 불필요한 당 섭취가 거의 없었습니다.


현대 한국인의 설탕 섭취 실태

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당류 섭취량은 62.1g에 달합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하루 첨가당 섭취 권장량인 25g약 2.5배 수준입니다.

WHO 권장량 vs. 한국 평균 섭취량 비교

항목당류(g)각설탕 환산 (1개 ≒ 4g)
WHO 권장량25g 이하약 6개
한국인 평균62g약 15~16개

설탕, 어디에 숨어 있을까?

설탕은 단순히 음료나 디저트에만 있는 게 아닙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에도 숨어 있습니다:

  • 콜라 1캔(355ml) → 약 39g (약 각설탕 10개)
  • 카페라떼 시럽 추가 → 약 15g
  • 시리얼 1인분 → 약 20g
  • 양념 불고기 1인분 → 약 10~15g

이렇게 식사 한 끼, 음료 한 잔만으로도 하루 권장량을 넘기기 쉬운 상황입니다.


설탕 과다 섭취가 불러오는 건강 문제

  • 비만제2형 당뇨병
  • 지방간,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 충치와 피부 노화 가속화
  • 우울감, 중독성 증가

무엇보다 설탕은 뇌의 보상 회로를 자극해 ‘단맛이 없으면 만족스럽지 않은’ 식습관을 만들게 됩니다.


조상들의 식탁에서 배우기

이제는 설탕 섭취를 의식적으로 줄여야 할 때입니다. 조상들은 설탕 없이도 맛있고 건강한 식사를 해왔습니다. 재료 본연의 맛을 살리는 조리법, 단맛을 위한 과일이나 조청의 활용은 지금도 배울 점이 많습니다.

실천 팁

  • 음료는 무가당이나 물로 대체
  • 요리 시 설탕은 절반만 사용해보기
  • 익숙한 반찬 레시피에서 설탕을 생략하고 감칠맛 조미료로 대체
  • 습관적으로 먹는 간식의 성분표 확인

단맛은 줄이고, 건강은 더하고.
한 끼에 각설탕 한두 개씩만 줄여도, 몸이 달라집니다.
오늘부터, 설탕과 거리 두기를 시작해보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