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당과 당화혈색소, 둘 다 알아야 진짜 건강관리!

“공복혈당은 정상이래요.”
그런데 왜 병원에서는 당화혈색소 검사도 해보자고 할까요?

우리는 종종 건강검진 결과에서 ‘공복혈당’만 보고 안심하곤 합니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하루하루, 그리고 지난 2~3개월간 우리의 혈당이 어떻게 움직였는지입니다. 그 열쇠를 쥔 것이 바로 **당화혈색소(HbA1c)**입니다.


혈당이란 무엇인가요?

혈당은 말 그대로 **혈액 속에 녹아 있는 포도당(당분)**의 농도입니다.
식사를 하면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포도당이 되고, 이 포도당이 혈액을 타고 온몸으로 퍼져 에너지원이 됩니다.

  • 정상 공복혈당: 70~99 mg/dL
  • 식후 혈당 피크: 보통 1~2시간 후 140mg/dL 이하 유지가 이상적

문제는 이 수치가 자주 오르내리는 경우.
혈당 스파이크처럼 급격히 올라갔다가 떨어지는 패턴은 인슐린 저항성을 높이고 만성질환과 노화를 앞당길 수 있습니다.


당화혈색소(HbA1c)는 뭐가 다른가요?

당화혈색소는 혈중 포도당이 적혈구 내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한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쉽게 말해, 최근 2~3개월간 평균 혈당이 얼마나 높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죠.

  • 정상 HbA1c: 5.7% 이하
  • 당뇨 전단계: 5.7% ~ 6.4%
  • 당뇨병 진단 기준: 6.5% 이상

예를 들어 공복혈당은 정상이지만, 식후 혈당이 자주 급등했다면 당화혈색소는 높게 나올 수 있습니다.


왜 둘 다 봐야 할까?

항목공복혈당당화혈색소(HbA1c)
의미현재 순간의 혈당지난 2~3개월간 평균 혈당
영향 요인전날 식사, 운동, 수면 등장기적인 식습관과 혈당 패턴
검사 목적일시적 혈당 확인전체적인 혈당 컨트롤 상태 평가

건강관리는 ‘스냅샷’이 아닌 ‘동영상’으로 보는 게 맞습니다.
공복혈당은 스냅샷, 당화혈색소는 영상기록이라 볼 수 있습니다.


건강한 혈당 유지 팁

  1. 식사 순서 조절: 야채 → 단백질 → 탄수화물
  2. 혈당 지수 낮은 식품 선택: 현미, 귀리, 콩, 고구마
  3. 식후 걷기 15분: 혈당 상승 완화
  4.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호르몬 밸런스 유지
  5. 정기적인 혈당 + HbA1c 검사: 내 몸의 흐름을 파악하기

마무리하며

건강은 숫자 그 이상입니다.
혈당과 당화혈색소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당신의 하루하루 생활습관을 반영한 기록입니다.

잠깐의 식사보다, 꾸준한 관리가 진짜 건강을 지켜줍니다.
오늘 식사 후, 가볍게 걷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당신의 HbA1c가 달라질지도 모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